청년지원자금 총정리 (2025년 기준)
청년지원자금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 진출을 돕기 위해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입니다. 이 지원은 주거, 창업, 취업, 생활비 등에 걸쳐 있으며, 각 지원금의 종류, 담당 부서, 신청 방법, 예상 금액, 대상 자격 등이 다릅니다.
아래에서는 주요 청년지원자금을 상세히 안내합니다.
1. 서울시 청년수당
- 목적: 미취업 청년들의 사회 진입을 지원하고, 구직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생활비를 지원합니다
- 담당 부서: 서울시 청년청
- 지원 내용: 매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간 지원 (총 300만 원)
- 대상 자격:
- 만 19세~34세 이하의 서울시 거주 미취업 청년
- 최종학력 졸업 후 2년이 경과한 자
-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실업급여 수급자, 군복무자는 제외
- 신청 방법:
- 신청 기간: 2025년 3월 6일(목) 10:00 ~ 2025년 3월 13일(목) 20:00
- 온라인 신청: 청년몽땅정보통
- 제출 서류: 최종학력 졸업증명서, 소득 증빙 서류 등
2. 청년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사업
- 목적: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차보증금 이자를 지원합니다.
- 담당 부서: 서울시 주택정책과
- 지원 내용: 임차보증금 대출 이자의 일부 지원
- 대상 자격:
-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고 실제 거주하는 만 19세~39세 이하의 청년 1인 가구
- 임차보증금 8천만 원 이하, 월세 60만 원 이하의 건물에 거주하는 무주택자
-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
- 신청 방법:
- 온라인 신청: 서울주거포털
- 제출 서류: 주민등록등본, 소득금액 증명원 등
3. 희망두배 청년통장
- 목적: 근로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합니다.
- 담당 부서: 서울시 복지정책과
- 지원 내용:
- 청년이 매월 10~15만 원을 저축하면 서울시가 동일한 금액을 매칭하여 지원
- 3년 후 최대 1,440만 원(본인 저축 720만 원 + 지원금 720만 원) 마련 가능
- 대상 자격:
-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8세~34세 근로 청년
- 본인 소득 월 220만 원 이하
- 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80% 이하
- 신청 방법:
- 온라인 신청: 서울시 자산형성지원사업 홈페이지
- 제출 서류: 주민등록등본, 소득 증빙 서류 등
4. 청년 전용 창업자금
- 목적: 청년 창업자의 사업화 자금 지원합니다.
- 담당 부서: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창업지원처
- 지원 내용:
- 사업화 자금 최대 1억 원 지원 (총사업비의 70% 이내)
- 창업 준비 공간, 창업 교육 및 코칭, 기술 지원 등 제공
- 대상 자격: 만 39세 이하, 창업 후 3년 이내의 창업 기업 대표자
- 신청 방법:
- 신청·접수: 1~2월
- 평가·발표: 2~3월
- 프로그램 진행: 3월~
- 상세 안내: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
5.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
- 목적: 기업이 취업애로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청년 고용 촉진을 하고자 합니다.
- 담당 부서: 고용노동부
- 지원 내용: 기업에 인건비 지원
- 대상 자격: 취업애로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중소·중견기업
- 신청 방법: 기업이 직접 참여 신청 후 청년 채용
6.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
- 목적: 청년들의 주거 부담 경감을 도와 자립하도록 도와 주고자 합니다.
- 담당 부서: 국토교통부, 주택도시보증공사
- 지원 내용:
- 보증금 최대 1억 원 대출
- 연 1.2% 고정금리 적용
- 대상 자격:
- 중소·중견기업에 재직 중인 만 19~34세 청년
- 연 소득 3,500만 원 이하
- 신청 방법:
- 온라인 신청: 주택도시보증공사
7. 청년내일채움공제
- 목적: 청년들의 장기근속 및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제도입니다.
- 담당 부서: 고용노동부
- 지원 내용:
- 2년형: 청년 300만 원 + 기업 300만 원 + 정부 600만 원 → 총 1,200만 원 목돈 마련
- 3년형: 청년 600만 원 + 기업 600만 원 + 정부 1,200만 원 → 총 2,400만 원 목돈 마련
- 대상 자격:
- 중소기업 정규직 입사 6개월 이내인 만 15세~34세 청년
- 신청 방법: 기업이 신청 후 청년이 가입
8. K-청년 글로벌 챌린지
- 목적: 청년들의 해외 진출 및 글로벌 경험 제공합니다.
- 담당 부서: 고용노동부, 한국산업인력공단
- 지원 내용:
- 항공권, 숙박비, 체재비 등 지원
- 해외 취업 및 인턴십 기회 제공
- 대상 자격:
- 만 19~34세 이하 미취업 청년
- 신청 방법: 온라인 신청 후 면접 및 선발
9. 지방자치단체별 청년 지원사업
- 서울시: 청년수당, 청년월세지원, 희망두배 청년통장 등
- 부산시: 청년 디딤돌카드, 청년월세 지원
- 대구시: 청년희망지원금, 청년구직활동지원금
- 경기도: 청년기본소득, 청년 노동자 지원금
- 광주시: 청년드림수당, 청년 일자리 지원
청년지원자금은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므로 본인의 상황에 맞는 지원을 찾아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각 프로그램의 최신 공고를 확인하고, 놓치지 않도록 유의하세요!